· 현장 복지시설 중장기 개선 전략 수립
- 휴게실, 샤워실, 탕비실 등 현장 편의시설 현황 진단 및 실태 조사
- 진단 결과 바탕으로 3~5년간의 시설 개선 마스터플랜 및 로드맵 수립
- 연간 투자 계획 및 예산안 편성, 집행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보고 및 프레젠테이션
· 신규 복지시설 및 프로그램 기획/도입
- 국내외 선진 사례 벤치마킹을 통한 신개념 복지 공간 및 프로그램 아이디어 발굴
- 임직원 수요 조사 바탕의 신규 시설(예: 모성보호/여성 전용 휴게실 등) 도입 기획 및 타당성 분석
- 기획안 바탕의 관련 예산 확보 및 실제 시설 도입 프로젝트 추진
· 시설 개선 프로젝트 관리 및 감독
- 시설 공사(신축, 증축, 리모델링)의 계획, 발주, 업체 선정 및 계약 업무
- 설계부터 준공까지 공사 전 과정에 대한 관리 감독(공정, 품질, 안전, 예산)
- 현장, 노조, 협력사 등 다수 이해관계자와의 요구사항 조율 및 공사 과정에 반영
· 현장 VOC기반의 상시 개선 과제 발굴 및 실행
- 정기적인 현장 순회 및 간담회를 통해 시설 관련 불편 및 개선 요구사항(VOC)수렴
- 수렴된 VOC를 분석하여 개선 과제를 도출하고 우선순위 선정 후 즉각적인 조치 실행
- 개선 결과에 대한 피드백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해 지속적인 개선 활동 전개
· (전공 무관) 전문학사 이상의 학위를 보유하신 분 (필수)
· 시설·자산관리 또는 건축·인테리어 시공/설계 분야 경력 5년 이상 보유하신 분 (필수)
· 현업 부서, 노동조합, 외부 협력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원활한 소통 및 협상 능력 보유하신 분 (필수)
· 대규모 제조업 사업장 또는 플랜트 시설관리 경험을 보유하신 분 (우대)
· 노동조합과의 협업 및 대관 업무 경험을 보유하신 분 (우대)
· 건축기사, 실내건축기사 등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신 분 (우대)
* 회사 상황에 따라 추가 전형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.
제출해주신 지원서를 포함하여 전형 과정 중 전/현직 직장의 영업비밀 침해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 부탁드립니다.
· 현장 복지시설 중장기 개선 전략 수립
- 휴게실, 샤워실, 탕비실 등 현장 편의시설 현황 진단 및 실태 조사
- 진단 결과 바탕으로 3~5년간의 시설 개선 마스터플랜 및 로드맵 수립
- 연간 투자 계획 및 예산안 편성, 집행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보고 및 프레젠테이션
· 신규 복지시설 및 프로그램 기획/도입
- 국내외 선진 사례 벤치마킹을 통한 신개념 복지 공간 및 프로그램 아이디어 발굴
- 임직원 수요 조사 바탕의 신규 시설(예: 모성보호/여성 전용 휴게실 등) 도입 기획 및 타당성 분석
- 기획안 바탕의 관련 예산 확보 및 실제 시설 도입 프로젝트 추진
· 시설 개선 프로젝트 관리 및 감독
- 시설 공사(신축, 증축, 리모델링)의 계획, 발주, 업체 선정 및 계약 업무
- 설계부터 준공까지 공사 전 과정에 대한 관리 감독(공정, 품질, 안전, 예산)
- 현장, 노조, 협력사 등 다수 이해관계자와의 요구사항 조율 및 공사 과정에 반영
· 현장 VOC기반의 상시 개선 과제 발굴 및 실행
- 정기적인 현장 순회 및 간담회를 통해 시설 관련 불편 및 개선 요구사항(VOC)수렴
- 수렴된 VOC를 분석하여 개선 과제를 도출하고 우선순위 선정 후 즉각적인 조치 실행
- 개선 결과에 대한 피드백 및 만족도 조사를 통해 지속적인 개선 활동 전개
· (전공 무관) 전문학사 이상의 학위를 보유하신 분 (필수)
· 시설·자산관리 또는 건축·인테리어 시공/설계 분야 경력 5년 이상 보유하신 분 (필수)
· 현업 부서, 노동조합, 외부 협력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원활한 소통 및 협상 능력 보유하신 분 (필수)
· 대규모 제조업 사업장 또는 플랜트 시설관리 경험을 보유하신 분 (우대)
· 노동조합과의 협업 및 대관 업무 경험을 보유하신 분 (우대)
· 건축기사, 실내건축기사 등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신 분 (우대)
* 회사 상황에 따라 추가 전형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.
제출해주신 지원서를 포함하여 전형 과정 중 전/현직 직장의 영업비밀 침해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 부탁드립니다.